
깨끗하게
샤워하고 얼굴에 수건이 닿은 순간,
앗! 무슨 냄새야 이건? 했던 순간 모두 있으시죠?
샤워
후 남은 찝찝함이라니..
가장
많이 쌓이는 빨랫감 중 하나인 수건. 좀 더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빨래 방법 소개해 드릴게요.
1. 섬유 유연제 사용을 줄여주세요
섬유
유연제는 수건의 흡수력을 저하시키고 수건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.
가능하다면 헹굼 단계에서 식초를
넣어 빨랫감을 중성으로 희석시켜 섬유를 부드럽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이것도 번거롭다면 섬유유연제는
최소한으로 사용하고, 세탁 세제에 향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2. 사용한 수건은 말린 후 세탁통에 넣으세요
축축하게
젖은 수건을 그냥 그대로 세탁통에 넣게 되면 땀에 젖은 다른 세탁물과 함께 뒤섞이면서 세균과 박테리아에 오염이 되기 쉽습니다.
바로 빨래할 게 아니라면 축축한 수건은 어느 정도 말린 후에 세탁통에 넣는 것이 추가 오염을 줄이고 수건에서
나는 쉰내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.
3. 새 수건은 세탁 후 사용해주세요
낡은
수건은 버리고 새 수건 사용 시 바로 사용하지 말고, 꼭 세탁 후에 사용해 주세요.
공장에서 막 나온 수건에는 실리콘, 소프트너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
세탁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면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.
반드시 새 수건 사용 전
40도 이상의 물에서 세탁해 사용하는 것이 피부 건강을 위해서도 바람직합니다.
4. 세탁 후 바로 건조해주세요
불쾌한
냄새의 원인 중 하나죠. 세탁기에 오랜 시간 방치하는 경우입니다.
쾨쾨한
냄새 때문에 세탁을 2번 해야 하는 일은 없어야겠죠.
통풍이
잘 되는 곳에서 바로 말려주면 향긋함만 남은 보송한 수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5. 삶기는
최소한으로
냄새를
없애기 위해 수건을 자주 삶다 보면 소재가 쉽게 상해 포근함이 사라지고 뻣뻣한 느낌만 남아
되려 피부 자극을 주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
자주 삶는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대신
세탁기에 넣기 전 과탄산소다에 뜨거운 물을 부어 수건을 담가두었다가 세탁기에 돌리는 편이 더 좋습니다.
이렇게
하면 삶지 않더라도 수건의 오염이 잘 빠지게 됩니다.
추가로, 생활 오염이 많이 묻은 옷과 함께 빨기보다는 수건끼리만 단독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,
오래 사용한 수건은 아낄 필요 없이 과감히 버리고 새 수건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